navigate!

방음된 방tool

자기 최면 악기2019. Oil on canvas, 1110×675mm
분노의 감정을 해소하기 위해 하단의 구멍에 ‘악-’하고 고함을 지르면 소리가 악기의 내부를 통과하며 증폭되고, 곧이어 힘 에너지로 바뀐다. 작은 구멍에서 분출한 힘은 은 구슬을 띄우고, 구슬은 징에 떨어져 ‘뎅--’소리를 냈다가 중심부로 되돌아간다.

글 윤형신

1.  투입구에 소리를 ‘악’ 전달한다 2. 소리는 몸체 중간에서 확장된다
3. 확장된 소리는 몸체 끝에서 힘 에너지로 전환이 된다
4. 작은 구멍에서 집약된 힘이 발생한다
5. 힘은 은구슬을 띄운다
6. 은구슬은 징에 떨어져 ‘뎅’ 소리를 낸다
7. 구슬은 ‘데구르르’돌며 다시 중심부로 돌아간다
8. 소리가 귀로 들어온다
자기 최면 악기의 플레이 구조”2020. Text
‘플레이 구조’란 게임의 작동법 혹은 게임 시스템의 구조를 뜻하는 말로, 게임의 플레이어 혹은 3D 프로그램을 다루는 설계자의 시각을 설명하기 위해 작가가 선택한 용어다. 게임과 3D 프로그램은 일상과 구별되는 시각성을 보여주는데, 작가는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거나 작품을 감상할 때도 그러한 관점을 상정한다. 설명서와 같은 형식으로 쓰인 ‘플레이 구조’연작은 (...) 작동법이자 그림에 대한 감상법이다.

글 윤형신



중심 잡기 의자2020. Oil on canvas, 900×890mm
탄성이 있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의자에 앉기 위해서는 척추로 몸의 중심을 잡아야 한다.

글 윤형신


.
중심 잡기 의자의 플레이 구조”2020. Text
‘플레이 구조’란 게임의 작동법 혹은 게임 시스템의 구조를 뜻하는 말로, 게임의 플레이어 혹은 3D 프로그램을 다루는 설계자의 시각을 설명하기 위해 작가가 선택한 용어다. 게임과 3D 프로그램은 일상과 구별되는 시각성을 보여주는데, 작가는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거나 작품을 감상할 때도 그러한 관점을 상정한다. 설명서와 같은 형식으로 쓰인 ‘플레이 구조’연작은 (...) 작동법이자 그림에 대한 감상법이다.

글 윤형신